재난관련정보

신속 정확한 정보제공으로 순창군재난안전대책본부가 함께 하겠습니다.

지진발생 종류

>재난관련정보>지진정보>지진발생 종류

어떤 지역에서 지진활동의 특성을 규명하고 확률론적으로 지진발생 가능성 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지진기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역사지진자료는 역사문헌에 기록된 지진관련 현상을 분석하여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1880년대에 지진계가 최초로 개발되어 실제적으로 계기 지진계에 의한 지진자료는 100년 미만의 제한된 기간의 자료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반도의 경우 지진자료는 약 2,000년에 걸친 역사지진 자료와 1905년 이후의 계기지진자료로 나눌 수 있다.

역사지진

우리나라에서의 최초의 역사지진 자료정리는 1912년 와다(和田雄治)가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7188권의 역사자료로부터 서기 2년부터 1855년까지의 역사지진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그 후 여러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 왔지만 평가자에 따라 지진발생 위치와 진도 등을 다르게 해석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김건득외(1977), 김 소구외(1979), 정봉일외(1980), 엄상호외(1983), 이기화외(1990)). 약 2000년 동안 기록된 문헌의 양이 막대하여 완벽한 체계적인 역사지진 자료정리는 매우 방대한 작업으로 이는 지진학자 뿐만 아니라 역사학자 및 건축학자 등이 함께 참여하여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그림은 조선지진연구소 조선지진목록(1984)에서 서기 2년부터 1898년까지 총 1843 개 지진에 대한 진앙분포도이다.

계기지진

계기지진의 경우 20세기 전반의 지진자료는 최근의 자료와는 그 정확도와 신빙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20세기 전반의 초기계기지진자료는 기술 방식이 역사지진과 유사 하여 진앙의 위치 및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반도에서 비교적 자세 한 지진자료는 1978년 이후 기상청에서 발표한 것으로 약 20년 동안의 기록뿐이다.
해방 후 우리 나라에서는 지진관측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1963년 미국 지질조사소 가 전세계 표준 지진관측망(WWSSN;World-Wide Standard Seismograph Network) 구축사 업의 일환으로 서울 기상청에 지진계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77년에 서울과 대구 2개소에서 관측을 시작하였으며, 1978년 홍성 지진 발 생 후 지진관측 장비를 보강하면서 1980년대부터 서울, 강릉, 추풍령, 광주, 부산 및 서산 6개소에서 관측을 시작하였다. 그 후 기상청은 지진 관측망을 보강하여 1992년 부터 12개소의 단주기 수직성분 지진관측소를 운영 중에 있다. 그림은 기상청에서 발표한 1978~1998년 사이에 발생한 지진의 진앙분포도이다.

최근발생한 대규모 지진

(사망자 100명이상)

발생일시 진 앙 지 역 규모 피해상황
'85.3.3 33.13S 71.87W 칠레, 산펠리페 7.8 177명 사망
2,575명 부상
'85.9.19 18.19N 102.53W 멕시코, 미초아칸 8.1 9,500명 사망
30,000명 부상
'86.10.10 13.82N 89.11W 엘살바도르 5.4 1,000명 사망
10,000명 부상
200,000 이재민
'87.3.6 0.15N 77.82W 콜롬비아
-에콰도르 국경
6.9 1,000명 사망
4,000명 실종
200,000 이재민
'88.8.20 26.75N 86.61E 네팔-인도 국경 6.6 721명 사망
6,553명 부상
64,470 가옥파괴
'88.12.7 40.98N 44.18E 아르메니아
(구소련)
6.8 25,000명 사망
19,000명 부상
500,000명 이재민
'89.1.22 38.46N 68.69E 구소련, 타직 5.3 274명 사망
다수 부상
'89.8.1 4.51S 139.02E 인도네시아,
이리안 자야
5.8 120명 사망
125명 부상
'89.10.18 37.04N 121.88W 미국, 샌프란시스코 7.0 62명 사망
3757명 부상
'90.4.26 35.98N 100.24E 중국, 창해 6.9 126명 사망
다수 부상
'90.5.30 6.01S 77.22W 페루, 리마 6.5 135명 사망
800명 이상 부상
'90.6.20 36.96N 49.41E 이란, Rosht 7.7 4000∼5000명 사망
60000명 이상 부상
'90.7.16 15.67N 121.17E 필리핀, 루존 7.8 1,621명 사망
3,000명 부상
'91.1.31 35.99N 70.42E 아프칸니스탄,
힌두쿠시
6.4 200∼400명 사망
다수 부상
'91.4.29 42.45N 43.67E 구소련, 코카서스 7.0 114명 사망
1,000명 부상
70명 실종
67,000 이재민
'91.10.19 30.78N 78.77E 인도, 뉴델리 7.0 2,000명 사망
1,800명 부상
18,000 가옥파괴
'92.3.13 39.71N 39.60E 터키 6.8 498명 사망
2,000명 부상
2,200 가옥파괴
'92.9.2 11.74N 87.34W 니카라과 7.2 116명 사망
68명 실종
13,500 이재민
1,300 가옥파괴
'92.10.12 29.88N 31.22E 이집트, 수에즈 5.2 541명 사망
6,500명 부상
8,300 가옥파괴
'92.12.12 8.48S 121.93E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7.5 2,200명 사망
500명 부상
40,000명 이재민
'93.7.12 42.85N 139.19E 일본, 홋카이도 7.6 200명 사망
39명 실종
540가옥파괴
600선박파괴
'93.9.29 18.07N 76.45E 인도, 라투르 6.2 9,748명 사망
30,000명 부상
'94.2.15 4.96S 104.30E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7.0 207명 사망
2,000명 부상
75,000 이재민
'94.6.2 10.48S 112.84E 인도네시아, 자바 7.2 250명 사망
27명 실종
423명 부상
1,500가옥파괴
278 선박파괴
'94.6.6 2.92N 76.06W 콜롬비아, 네이바 6.6 295명 사망
500명 실종
13,000 이재민
'94.8.18 35.52N 0.11W 알제리, 알제 5.9 159명 사망
289명 부상
10,000 이재민
'95.1.17 34.36N 135.02E 일본, 고베 7.2 6,432명 사망
40,000여명 부상
'95.5.27 52.63N 142.83E 러시아, 사할린 7.5 1,989명 사망
750명 부상
'95.10.1 38.10N 30.18E 터키 6.1 101명 사망
348명 부상
4,500 가옥파괴
'96.2.3 27.29N 100.28E 중국, 윤난 6.5 322명 사망
3,925명 부상
358,00 가옥파괴
'97.2.28 38.08N 48.05E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이란 국경 6.1 965명 사망
2,600명 부상
12,000 이재민
36,000 가옥파괴
'97.5.10 33.83N 59.81E 이란-아프가니스탄 국경 7.3 1,567명 사망
2,300명 부상
10,533 가옥파괴
50,000 이재민
'98.1.10 41.08S 114.50W 중국, 화북성 5.9 70명 사망
약 11500명 부상
'98.2.4 37.08N 70.09E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국경
6.1 2,323명 사망
818명 부상
8,094 가옥파괴
'98.5.22 17.73S 65.43W 볼리비아, 코차밤바 6.6 105명 사망
150명 부상
'98.5.30 37.11N 70.11E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국경
6.9 4,000명 사망
수천명 부상
'98.6.27 36.88N 35.31E 터키 6.2 145명 사망
1,500명 부상
'98.7.17 2.93S 141.80E 파푸아뉴기니 7.1 2,183명 사망
수천명 부상
'99.1.26 4.29S 75.68E 콜롬비아 5.8 1,170명 사망
4,000명 부상
'99.2.11 33.79N 69.03E 아프가니스탄
-타지스키스탄 국경
5.9 100명 사망
300명 부상
'99.3.29 30.49N 79.29E 인도 6.6 100명 사망
300명 부상
'99.8.17 40.70N 29.99E 터키, 이즈밋 7.4 15,400명 사망
27,233명 부상
'99.9.7 38.13N 23.55E 그리스, 아테네 5.8 143명 사망
2,000여명 부상
'99.9.21 23.8N 121.1E 대만, 타이중 7.6 2,474명 사망
11,000여명 부상
'99.11.12 40.76N 31.16E 터키, 두즈체 6.3 834명 사망
4,566명 부상

20세기 주요지진

(사망자 10,000명 이상)

발생일시 지 역 사망자수 규모
1908년 12월 28일 이태리, Messina 120,000 7.5
1915년 1월 13일 이태리, Avezzano 30,000 7.0
1920년 12월 16일 중 국, Kansu 180,000 8.5
1923년 9월 1일 일 본, Kwanto 143,000 8.2
1932년 12월 26일 중 국, Kansu 70,000 7.6
1935년 5월 31일 파키스탄, Quetta 60,000 7.5
1939년 1월 24일 칠 레, Chillan 30,000 7.8
1939년 12월 27일 터 키, Erzincan 23,000 8.0
1960년 2월 29일 모로코, Agadir 14,000 5.9
1962년 9월 1일 이 란, Qazvin 14,000 7.3
1968년 8월 31일 이 란 11,600 7.4
1970년 5월 31일 페 루 66,000 7.8
1976년 2월 4일 과테말라 22,000 7.9
1976년 7월 27일 중 국, Tangshan 650,000 7.6
1978년 9월 16일 이 란, Tabas 25,000 7.7
1988년 12월 7일 아르메니아, Spitak 25,000 6.8
1990년 6월 20일 이 란, Rasht 45,000 7.7
1999년 8월 17일 터 키, 이즈밋 15,400 7.4